최근 Github copilot을 사용해보고 신세계를 경험하고 유료 결재를 선택한 후, 카드 도용 등이 신경쓰여 깃허브 로그인 2단계 인증 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그간 github는 소스 코드 올려놓는 용도로만 무료로 사용했는데, 이제 카드 번호도 등록했으니 계정 보안도 신경이 쓰여 Two-factor authentication을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깃허브 로그인 2단계 인증 설정 하기
우선 로그인을 진행한 후 우측 메뉴에서 Settings 메뉴로 접속합니다.
설정메뉴에서 Password and authentication을 선택합니다.
아직 Two-factor authentication 이 설정되지 않았으므로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됩니다. Enable을 선택해서 2단계 인증을 계속 진행합니다.
Microsoft Authenticator로 Github 2단계 인증하기
Two-factor authentication은 아래와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Authenticator apps and browser extensions like 1Password, Authy, Microsoft Authenticator, etc. generate one-time passwords that are used as a second factor to verify your identity when prompted during sign-in.
개인적으로, 기존에 Team 계정 등에서 Microsoft Authenticator을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마소 것으로 선택
카메라로 qr 코드를 찍으면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Microsoft Authenticator 가 실행되며 자동 등록 됩니다.
(보안상의 이유로 스마트폰에서는 Microsoft authenticator는 캡쳐가 되질 않네요…)
github two-factor authenticator Recovery code 보관하기
Github 로 등록된 메뉴를 누른 후 one time password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recovery codes를 보여줍니다. 잘 보관합시다.
정상적으로 설정이 되면 다음과 같이 로그인 시에 Authentication Code를 입력해야만 합니다.
이상으로 깃허브에 Two-factor authentication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유료 결제 등으로 카드 내역이 등록되어 있거나 소스 코드 활용도가 높다면 보안을 위해서라도 2단계 인증 설정해 두시기 바랍니다.
그 밖에 도움이 되는 글
이 calculator을(를) 열려면 새 앱이 필요합니다- 의외의 해결 방법
파일 스트리밍에 대한 목적 디렉터리는 존재하지 않거나 쓸 수 없습니다.